[자료실]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현황(2021년 1월 현재)
첨부파일 :
※ 농림축산식품부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제도 : http://www.mafra.go.kr/mafra/1360/subview.do
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현황(*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)
지정번호 | 명칭 | 지정범위 | 주요특징 |
제1호('13년) * | 청산도 구들장논 | 완도 청산도 전역 (5.0ha) | 급경사로 돌이 많고 물빠짐이 심하여 논농업이 불리한 자연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전통 온돌방식을 도입, 독특한 구들장 방식의 통수로와 논 조성 |
제2호('13년) * | 제주 밭담 | 제주도 전역 (542ha, 22,108km) | 돌, 바람이 많은 척박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밭담을 쌓아 바람과 토양유실 방지, 농업 생물다양성, 수려한 농업경관 형성 |
제3호('14년) | 구례 산수유농업 | 구례군 산동면 (228ha) | 생계 유지를 위해 집과 농경지 주변 등에 산수유를 심어 주변 경관과 어우러지는 아름다운 경관 형성, 다양한 생물 서식지, 시비와 씨 제거 등 전통농법 |
제4호('14년) * | 담양 대나무숲 | 담양읍 삼다리 (56.2ha) | 다양한 생물의 서식지이며 대나무숲은 독특한 농업경관 형성, 죽초액과 대나무숯을 활용하여 병충해 방재 및 토양개량 등 전통농법 |
제5호('15년) * | 금산 인삼농업 | 금산군 일원 (297ha) | 인삼재배의 최적지, 재배지 선정, 관리, 재배, 채굴, 가공 등 전통농법 유지, 주변 산과 하천이 어우러지는 경관 형성 |
제6호('15년) * | 하동 전통차농업 | 하동군 화개면 일대 (597.8ha) | 생계유지를 위해 1,200년 동안 전승된 전통적인 농업, 풀비배 등 전통방식의 차 재배 유지, 차밭 주변의 산림과 바위가 어우러지는 독특한 경관 형성 |
제7호('16년) | 울진 금강송 산지농업 | 울진군 금강송면 북면 일대 (14,188ha) | 왕실에서 황장봉산으로 지정 관리,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송계와 산림계를 조직하여 관리, 주변계곡과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 형성 |
제8호('17년) | 부안 유유동 양잠농업 | 부안군 변산면 유유동 일대 (58.9ha) | 뽕재배에서 누에 사육 등 일괄시스템이 보전․관리되고 친환경적 뽕나무 재배, 생물다양성, 주변 산림과 뽕나무밭이 조화된 우수한 경관 |
제9호('17년) | 울릉 화산섬 밭농업 | 울릉군 일대 (7,286ha) | 급경사지 밭을 일구면서 띠녹지를 조성하여 토양유실 방지하고 주변 산림지역의 유기물을 활용하였으며, 울릉에 자생하는 식물을 재배하였고, 산림과 해안이 어루어지는 패치형태의 독특한 경관 |
제10호('18년) |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 | 의성군 금성면 등 4개면 일원 | 삼한시대 조문국시대부터 2,000년의 농업역사를 가지고 있는 금성면 일대는 약 1,500개의 제언이 축조, 이를 통해 농업용수를 저장 · 활용함으로써 이모작 전환시스템 구축 |
제11호('18년) | 보성 전통차 농업시스템 | 보성군 일원 | 새끼줄을 기준삼아 경사지 등고선에 따라 간격과 수평을 맞추는 계단식 차밭 조성 기술과 경관 형성 |
제12호('18년) | 장흥 발효차 청태전 농업시스템 | 장흥군 일원 | 반음반양의 차 재배환경 조성 및 친환경 농법, 발효차 전통 제다 지식체계, 굽는 과정이 추가되는 독특한 청태전 음다법 등 구축·전승 |
제13호('19년) | 완주 생강 전통 농업시스템 | 완주군 일원 | 겨울철 생강종자 보관을 위해 토굴을 활용한 저장시스템으로 농가의 아궁이 열을 이용한 온돌 방식, 수직강하 방식 등이 있음 |
제14호('19년) | 고성 해안지역 둠벙 관개시스템 | 고성군 일원 |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둠벙을 조성하고 활용하여 빗물이 바다로 빠져나가는 해안지역의 자연적 특성 극복 |
제15호('19년) | 상주 전통곶감 | 상주시 일원 | ‘상주둥시’ 전통 품종보전을 통한 감 재배 적지선정·관리·가공 등 곶감의 전통적 방식 계승 |